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장바구니 고객센터 판매자등록 사진방
오디오엑스포 서울2021
Totem (토템) 북셸프 스피커 Model 1 Signature 3rd Edition
3,050,000원
Totem (토템)
캐나다
준비중
상품정보 강력추천,리뷰 사용기,간단의견 Q&A



Totem(토템)
모델 1 시그너쳐는 기존 모델1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룬 제품입니다.

시그너쳐는 미드레인지에서 오버로딩 없이 섬세하고 다이내믹하며 정교한 음을 재생합니다. 단단하고 정확한 베이스 응답과 핀포인트 이미지는 모델 1 시그너쳐의 내세울 만한 특징입니다. 중역은 정보량이 많은 재생에서도 더 선명하고 안정적으로 홀로그래픽 이미지를 재생합니다. 뛰어난 하모닉은 당신을 매혹시킬 것입니다.

W.B.T사의 스피커터미널과 스피커 뒷면의 Signature를 알려주는 패널은 가치를 더합니다.

내부적으로 배선재가 모델 1 시그너쳐에 특화되도록 더 정교하게 최적화되었습니다. 토템의 기술력으로 널리 알려진 크로스오버 디자인이 모델 1 시그너쳐에서는 더욱 정교하고 완성도 높게 다듬어졌습니다. 가장 아름답고 음악적인 스피커를 위해 어떠한 낭비나 군더더기 없이 최적화시켰습니다.

모델 1 시그너쳐가 왜 모니터스피커를 대표하는 레퍼런스가 되었을까요?

Totem(토템)은 스펙이 실제 음악을 재생하는 데에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Totem(토템)의 스피커는 실생활에서 숨쉬며 실제 공간에서 음악을 재생합니다. Totem(토템) 모델 1 시그너쳐공간표현력, 리듬, 앰비언스, 코히어런스, 음색, 베이스 특성 등 실제 재생에서 놀라운 성능을 나타냅니다.

Totem(토템)은 타협 없는 접근과 끊임없는 혁신적인 연구, 음악애호가를 위한 헌신과 사랑이, 품질과 미관과 가치,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음악성에서 비교할 수 없는 제품으로 만든다고 믿고 있습니다.

Totem(토템)이 자신 있게 선보이는 북셀프 스피커 Model 1 Signature에서 이러한 Totem(토템)의 신념을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Totem(토템) 북셀프 스피커 Model 1 Signature 3rd edition 은, Totem(토템) 스피커 그 자체의 대표하는 스피커입니다.

Model 1 Signature 3rd edition 은 미드레인지에서 오버로딩 없이 섬세하고 다이내믹하며 정교한 음을 재생합니다. 단단하고 정확한 베이스 응답과 핀포인트 이미지는 가장 주목 할 만한 사운드 특징입니다.

Model 1 Signature 3rd edition 은 공간표현력, 리듬, 앰비언스, 코히어런스, 음색, 베이스 특성, 놀라운 사운드 스테이징, 그 어떤 스피커도 표현해 내기 힘든 엄청난 스케일감은 여러분을 환상의 컨서트홀로 이끌어 드릴 것입니다.

◎ 극도로 정확한 사실적 표현력과 타의 추종을 불허 하는 보컬의 섬세함과 아름다움, 결코 퍼지지 않는 단단한 저역은 모든 Totem(토템) 스피커들이 갖추고 있는 한결 같은 자랑거리입니다.

Totem(토템)의 모든 스피커들은 숙련된 장인이 다듬은 느낌이 좋은 고품질 인클로우저를 채용 했습니다..전통 가구 맞춤 기법인 lock-miter 조인트를 사용하였고, 내부 진동 및 공진 제어를 위해 최첨단 하이테크 소재를 이용하였습니다.

Model 1 Signature 3rd edition은 매우 뛰어난 품질의 천연 무늬목을 채용해 오랫동안 보아도 질리지 않는 우아하고, 슬림하며, 클래식한 디자인을 자랑합니다.

Model 1 Signature 3rd editionTotem(토템) 고유의 독창적인 크로스오버 시스템과 바이와이어링이 가능한 고가의 독일 WBT 사의 바인딩 포스트 터미널을 사용하여 품격을 높이고 있습니다.


토템 어쿠스틱 CEO 인터뷰기사

This is MODEL-1 Signature 3rd edition
Vince Bruzesse, Designer and CEO of Totem acoustic


1. History of Model 1
- 오리지널 모델은 언제 개발되었고 언제 어떻게 업그레이드 된 것인가?


오리지널 Model 1은 1988년 탄생되어 1989년 9월부터 시판했다. Model 1은 Dynaudio의 15W75 드라이버를 사용한 세계 최초의 스피커이다(Dynaudio 조차도 이 드라이버로 스피커를 제작하기 이전이다). Seas의 트위터는 매우 특별한 성능을 갖는 드라이버로서 Totem에서 재작업을 통해 개조하여 사용한다. 오리지널 Model 1은 듣는 위치에 크게 구애 받지 않는 사운드 스테이징 능력은 가히 혁명적이라 부를만하며 당시 이렇게 작은 스피커로 엄청난 다이내믹 포텐션을 갖는 스피커가 없었다. 또한 상업적으로 WBT 단자를 스피커에 채용한 것도 Totem이 세계 최초이다.

크로스오버는 기판 없이 케이블로 연결하는 하드와이어링 제작이다. 메탈을 이용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스틸렌 바이패스 콘덴서를 사용한다. 트위터용 필터는 공심 코일을 사용하고 우퍼에는 Litz 와이어를 이용한 공심 코일을 썼다. 모든 코일은 무산소 동선이며 내부 배선재 또한 Model 1을 위해 테플론이 입혀진 은과 동의 합금 소재 케이블을 제작, 사용했다.

Signature 버전은 WBT의 스피커 터미널이 바이와이어로 바뀌었으며 1997년 처음 등장했다. 업그레이드는 Dyaudio 15W75 드라이버부터 개선되었다. 이에 맞춰 트위터와 미드베이스의 매칭 튜닝도 이루어졌다.
가장 큰 진화는 크로스오버에 대형 크기의 페이퍼 오일 콘덴서를 사용하고 완벽히 메탈 하우징으로 크로스오버를 캡슐화했다. 이 콘덴서는 트위터와 우퍼 모두에 사용되는 바이패스 콘덴서로 특수 제작된 것이다. 트위터와 우퍼에 각각 3개씩 병렬로 연결된다. 선별된 부품들로 최적의 밸런스를 위해 도입되었다.

크로스오버와 우퍼의 연결에는 여러 가닥의 심선으로 구성된 은과 동 소재 케이블을 멀티 테플론으로 처리한 새로 개발한 배선재를 사용했고 트위터에는 같은 소재를 굵은 단선으로 만든 멀티 테플론 코팅의 케이블을 썼다. 위상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특수 제작한 저항들을 콘덴서와 코일에 함께 사용한다. 물론 Signature는 모든 면에서 오리지널 모델을 능가하는 퍼포먼스를 갖고 있다. 모든 면에서 특히 음악적인 부분에서 쉽게 알 수 있으며 단지 부품 한두개 바꾼 수준이 아님을 들어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된 Model 1 Signature는 2003년 발매되었으며 한국에서 정한 2007년 RoHS 기준에도 부합하는 제품이다.
업그레이드된 Seas의 트위터는 새로운 서스펜션을 사용함으로써 한층 향상된 고역 주파수 특성을 갖게 되었다. 이에 맞춰 다시 우퍼와 트위터의 매칭 튜닝을 실시했다. 물론 미드베이스는 97년 Signature와 같은 Dynaudio 드라이버지만 RoHS 기준에 맞는 규격으로 개선되었다. 드라이버의 교체 튜닝으로 크로스오버 전체가 새로 디자인되었고 부품들도 모두 바뀌었다. 새로운 메탈 캡슐 처리된 페이퍼 오일 콘덴서가 사용되었는데 이 부품들은 영국 ICW의 Clarity, 캐나다의 Solen, 미국의 SBE와 SBE Orange Drop 등의 메탈 포일 콘덴서들과 독일의 Mundorf의 Silver/Gold 콘덴서등이 각각 투입되었다. 저항 또한 미국의 H.E.I. 로부터 새로운 저항 부품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다. 단, 코일은 전작과 같은 소재의 부품이다.

크로스오버 제작은 지금까지도 모두 수작업에 의한 하드 와이어링 제작이다. PCB 같은 기판은 쓰지 않는다. 기판은 구조적으로나 기계적으로나 단점이 있다. 이외에 WBT의 은납과 금 또는 은을 혼용한 소재만을 트위터의 땜질에 사용한다.

2 . Cabinet
- Totem 스피커들은 외장 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원목 마감 처리를 한다는 것이 사실인가?


사실이다. 가격에 상관없이 모든 Totem 스피커들은 이국적인 원목 마감 처리를 캐비닛의 겉 뿐만 아니라 속까지 똑같이 마감 처리를 한다. 물론 외장의 원목 마감 소재는 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훨씬 이쁘고 비싼 소재를 사용한다. 한편 캐비닛 내부에는 외장 마감에 비해서는 저렴한 소재를 사용하지만 원목 마감은 겉과 똑같이 한다. 그리고 붕규산염(borosilicate)을 내부 원목 마감 위에 멀티 코팅으로 덧칠을 한다.

- 붕규산염 코팅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 음질에 미치는 영향은?

이런 내부 코팅 처리는 세계적으로 Totem이 유일하다. 연고같은 두터운 크림이 아니라 물과 같은 액상 소재로 수차례에 걸쳐서 코팅한다. 붕규산염은 NASA가 제작한 우주선의 표면이 붙은 타일들과 같은 소재로서 백악질 성분의 물질이다. 우리가 아는 한 가장 뛰어난 에너지 흡수 소재이다. 마치 라디에이터처럼 미세한 분자성 에너지들을 흡수하여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해준다.

이 소재를 처음 사용해봤지만 확실한 사실은 붕규산염 처리로 스피커가 최적의 Q 값(댐핑 성능)을 갖게 되고, 모든 스피커 동작에서의 모든 파라미터들이 설계에서 처럼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는 사실이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스피커의 음향적인 특성이 변하지도 않는다. Totem 스피커들은 모두 스피커 속에 흡음제 같은 댐핑 처리 소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그런 흡음재보다도 훨씬 비싸지만 붕규산염 코팅을 고집하는 이유이다.

- Totem은 캐비닛을 본드 대신에 나무로 아귀가 맞도록(Lock-mitered) 목공 작업으로 짜맞춘다는데 어떤 방식인가?

일반 스피커들은 모서리를 사선으로 깎고 본드를 칠해 맞붙인다. Lock-mitered 방식 제작이란 면들이 맞물리는 부분을 지그재그로 깎아 끼워 맞추면 맞물리게 하면 일반 스피커들과 달리 약 4배 정도 넓어진 접합면을 갖게 된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스피커 캐비닛의 변형이 생길 소지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일반 스피커보다 훨씬 견고한 구조를 갖는다.

겉보기에는 단순하지만 아주 고급스러운 Model 1 캐비닛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사용된 MDF는 표면에서 속으로 들어가며 밀도가 바뀌도록 제작한 특수 제작 소재로 소재 자체의 공진이 거의 없다. 일부 업체처럼 각기 다른 두께를 갖는 MDF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것은 공진 현상을 끊임없이 반복해서 만들기 때문이다.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선별해서 자르고 붙인 다음 캐비닛의 겉과 속에 모두 원목 마감 처리를 한다. Totem의 원목 마감 소재는 유럽산 최고급 원목으로 부터 나무의 최외각 중 약 4분의 1 정도 부분의 단면을 얇게 잘라낸 것이다.

또한 Totem의 목공 기술이 매우 훌륭하기 때문에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100% 장인들의 수작업으로 제작한다. 이유는 모서리를 아귀 형태로 만들어 짜맞추는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서리 면들이 미리 잘 맞도록 세밀히 톱질이 되어야 하고 그래야 정확하기 끼워 맞춰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목공 작업이 이뤄진 MDF들 중 가장 잘맞는 피스들을 골라 끼워 맞춘다. 마지막 접착 처리에 프레스로 캐비닛의 5면 또는 6면 모두를 강하게 압박한다. 그렇게 해야 모든 면들이 강력하게 고정된다.

Totem은 플라스틱이나 메탈 소재를 나무와 절대로 혼용하여 캐비닛을 만들지 않는다. 그런 구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캐비닛이 떨거나 소재의 차이로 수축하거나 늘어나게 되어 접촉 부분들이 벌어지거나 틀어진다.

언제나 나무 결의 모양과 마감 처리는 가장 최신의 유럽의 원목 마감 소재를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최고의 원목만을 사용해오고 있다. Totem은 모델 변경을 자주 하지 않기 때문에 캐비닛은 하이엔드 업체들의 표준 수준을 뛰어넘어 훨씬 더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최고 수준의 엔지니어링으로 완성되어 있다.

- 이 작은 스피커의 내부에도 버팀목을 추가하는가?

Model 1에는 스피커 전면 크기와 같은 나무 판넬이 내부 보강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트위터와 우퍼 사이에 있다. 이는 전후 좌우으로 연결되는데 세 방향은 홈을 파내 캐비닛과 끼워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모든 접합 부위에는 접착처리가 되어있다.

3 . Driver Units
- Model 1 은 Seas와 Dynaudio의 드라이버를 쓰는데 특별히 이들을 선택한 이유는 ?


Totem은 트위터가 우퍼와 밸런스를 맞추도록 특별히 제작한다. 따라서 유닛들 간의 시너지가 강력하다. 업계에서 거의 예외적인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업체들의 드라이버로도 Totem의 사운드를 만들 수 있지만 Seas와 Dynaudio 유닛의 조합은 크기와 효과를 고려하건데 우리에게 있어서 최고의 결과가 가능한 드라이버이다.

- 그렇다면 유닛들은 오리지널 버전인가 아니면 특주된 버전인가?

Seas의 트위터는 Totem만을 위한 스펙으로 제작된 특별한 성능의 트위터이다. Seas에서 납품 받게 되면 트위터를 모두 분해한다. 그리고 댐핑 부분을 비롯한 여러 부분들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다시 조립하고 마지막으로 직접 제작한 전용 공진 해소 하우징을 씌운다. Dynaudio의 드라이버도 초기에는 분해, 재조립을 하여 사용했으나 현재는 완벽한 드라이버가 되었기 때문에 오리지널 그대로 사용한다.

단, Totem에서는 드라이브 유닛들 그 자체가 제품의 성능이 된다고 생각지 않는다. 그 보다는 이들 부품을 어떻게 조합하는가 하는 점과 이들을 Totem의 캐비닛, 크로스오버, 튜닝 등의 기술이 어떻게 함께 녹아들어가는가가 최종 제품의 성능을 결정한다고 믿고 있다. 자동차 레이싱에서 같은 타이어를 쓰거나 같은 엔진을 사용한 자동차들이라 할지라도 우승하는 차는 따로 있다.

- Totem 제품들의 트위터에 보면 작은 스티커가 붙어있다.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원리적으로 설명하기 어렵지만, 내부 배선과 색상을 위한 설명이 먼저 있어야 할 것 같다. Totem 제품의 내부 배선은 정확히 똑같은 비율의 금속 합금으로 제작된 케이블을 사용한다. 그러나 케이블의 외피 색상(테플론과 똑같은 소재)은 전적으로 하모닉스를 더하거나 줄이는 기능을 갖고 있다.

Totem 제품과 같이 세밀하게 튜닝된 스피커 시스템들에서는 외부의 표피(색상)은 최종 음질 튜닝에 많은 부분을 공헌한다. 이것이 많은 우리의 스피커들에 각기 다른 내부 배선과 그와 같은 색상의 스티커를 붙인 이유이다. 만약 눈에 거슬린다면 띠어내도 상관없다고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만약 사람들이 그들의 스피커 시스템에서 최대 성능을 뽑아내고 싶다면 이 표시에 아주 미세한 고역의 위상 튜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 Crossover
- 크로스오버의 필터는 어떻게 설계되어 있는가?

모든 Model 1 스피커들은 에디션에 상관없이 2차 크로스오버 필터를 이용한다. 부품들은 첫 질문에서 언급한 부품들을 사용한다.
Totem은 시간이 지나도 성능이 변치 않는 non-poloarized(무극성), self-healing 타입의 콘덴서를 사용한다. 모든 내부 배선은 완전 무산소 동에 은을 섞어 만든 은동선을 사용하며 전혀 산화하지 않는 테플론 코팅의 케이블이다.

5 . Design type
- Model 1을 비롯한 대다수의 Totem 제품은 덕트가 뚫린 bass reflex 타입들이다. 밀폐형 설계는 하지 않는가?


Totem 제품 모두는 bass reflex 설계를 적용하여 철저하게 수학 계산을 통해 설계된다. 1987년에 Totem을 설립하기 전까지는 다양한 밀폐형 제품들을 만든 적이 있긴 하지만 Totem 이전의 일들이다. 현재 Totem의 유일한 밀폐형은 바이-다이폴 서라운드 스피커인 Lynk와 하이엔드 벽 매립 스피커인 Inner Spirit 뿐이다.

6 . Model 1의 개성
- Model 1이 갖는 특별함 또는 장점이 있다면 ?


스피커 정면이나 측면이나 듣는 위치에 상관없이 언제나 우수한 사운드를 들려준다. 스피드와 다이내믹스 재생 능력이 훌륭하면서도 모든 하모닉스 성분을 잘 유지하고 있다. 피아노, 보컬 그리고 가청 대역내의 어떤 소리도 압축되지 않은 재생음을 연출하여 실제 음악과 보컬을 초월한 듯한 하이파이 그 이상의 소리를 들려준다.

Model 1 Signature는 마치 실제 현장의 실제 음과 같은 음으로 녹음 재생해주는 놀라운 능력과 믿기 힘든 밸런스를 갖고 있다. 우리의 모토는 항상 Listen and Believe 였다. 정말 좋다는 스피커를 들어보았다면 그 뒤에 Model 1을 들어보라. 금방 이해가 될 것이다.
실제로 오디오파일 레이블인 스웨덴의 Opus3의 Jan eric은 지금까지 무려 18년 동안 수 많은 녹음 작업에 Model 1을 사용해왔다. 최근에 Opus3는 Mani-2 Signature로 교체하였다. 일반 사용자들 뿐만 아니라 많은 뮤지션들과 오디오파일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7 . Matching amplifier
-어떤 종류의 앰프가 Model 1 Signature에 어울린다고 생각하는가 ?


진공관이든 반도체든 상관없이 수많은 앰프들을 사용해왔다. 물론 일부 앰프들은 다른 제품들보다 더 좋은 소리를 내주기도 하지만 그것은 110v와 220v의 전원에 따라 다를 때 뿐이다. 때때로, 우리는 110v로 캐나다에서 아주 좋은 소리를 들려준 앰프를 220v 전원의 사용자에게 추천하는데 결과는 다른 소리가 나오곤 했다.

개략적으로 Model 1에서 좋았던 앰프를 꼽아본다면 진공관에서는 Leben 300x 인티 앰프가 좋았으며 Audio research, Quad, Einstein 그리고 Viva의 Aurora 같은 제품들이 좋은 매칭을 들려주었다.

반도체 앰프라면 Sonneteer의 Campion, LFD, Rega의 모노블럭, Plinius 9200 그리고 Ayre의 K5/V5 내지는 대부분의 고성능 분리형 앰프들이라면 훌륭하다.

물론 우리의 튜닝 테스트에는 이보다 많은 다양한 앰프들이 사용되지만 위의 앰프들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제품정보]

  • 주파수대역 : <50 Hz - 20 kHz ± 3 dB
  • 임피던스 : 4 ohms
  • 감도 : 87 dB/W/m. Maximum sound pressure 103 dB before dynamic compression
  • 최소출력 : 15 W at 8 ohms
  • 최대출력 : 120 W
  • 트위터 : 1” aluminum dome. Chambered
  • 미드/베이스 : 5 1/2”. 3” voice coil
  • 크로스오버주파수 : 2.7 kHz electrical and mechanical
  • 제품크기 : 313 x 167 x 227 mm
  • 제품무게 : 4.1 kg


사이러스, XTZ, 노스스타 디자인, CHORD CABLE 프라이메어, 하베스, 어드밴스 어쿠스틱 사운드트레이드, 매지코 다인오디오, 오디오아날로그, NHT FOCAL, SIMAUDIO ONKYO JBL, ELAC, AUDIOLAB 패러다임, PMC, Simaudio,Musical Fidelity, Pioneer MBL, ROTEL, WIREWORLD